M12 좋은 땅이신 그리스도를 누리는 생활을 하여, 그 결과로 성전인 하나님의 거처와 성인 하나님의 왕국을 산출함
7차집회개요
작은감자 2024-04-11 , 조회 (194) , 추천 (0) , 스크랩 (0)
출처
원문

M12 좋은 땅이신 그리스도를 누리는 생활을 하여, 그 결과로 성전인 하나님의 거처와 성인 하나님의 왕국을 산출함

성경: 고후 13:14, 1:12, 4:15, 6:1, 8:1, 9, 9:8, 14, 12:9


Ⅰ. 고린도전서는 구약에 나오는 이스라엘 자손의 역사를 신약의 믿는 이들에 대한 예표로 삼지만(5:7-8, 10:1-13), 고린도전서에는 좋은 땅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것은 영적으로 말해서, 좋은 땅의 실재가 고린도후서에 있기 때문이다.


A. 고린도후서에 나오는 좋은 땅의 실재는 신성한 은혜이신 그리스도 자신이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고린도후서의 중심 사상이자 주제이다 . 고후 13:14, 1:12, 4:15, 6:1, 8:1, 9, 9:8, 14, 12:9.

B. 고린도전서 15장 10절의 “내가 아니라, 나와 함께한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라는 갈라디아서 2장 20절의 “이제는 더 이상 내가 … 아니라, 그리스도”와 동일하다. 사도를 밀어내고 사도 안에서 운행했던 은혜는 어떤 사물이 아니라 살아 계신 인격(요 1:16-17), 즉 하나님 아버지의 체현이신 부활하신 그리스도였다(골 2:9, 요 14:7-11). 그분은 모든 것을 포함하신 생명 주시는 영이 되시고(고전 15:45하, 고후 3:17) 사도 안에 거하심으로써 사도에게 능력을 주는 누림이 되셨다(딤후 4:22, 2:1).

C. 은혜는 우리의 누림을 위해 우리에게 주어지신, 그 영이신 그리스도 안에 계신 하나님이다. 이 은혜는 우리에게 활력과 능력을 주고, 우리를 지지하며, 우리를 강하게 하여 온갖 어려움에 대처하게 하고, 모든 상황에 적응하게 하며, 온갖 대우를 견디게 하고, 온갖 환경을 받게 하며, 어떤 조건에서도 일하게 하고, 온갖 기회를 붙잡게 함으로써, 우리가 선한 청지기가 되어 하나님의 다양한 은혜를 다른 이들 안으로 분배함으로 하나님의 집이자 하나님의 왕국인 교회를 건축하도록 한다 . 고전 15:10, 고후 1:3-12, 12:7-9, 벧전 4:10,엡 3:2.


Ⅱ. 우리는 좋은 땅으로 예표되신 모든 것을 포함하신 그리스도를 누릴 수 있게 해 줄, 하나님의 눈길이 머무는 그러한 생활을 어떻게 살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 골 1:12, 2:6-7상.


A. 우리는 그리스도에 대해 수고하는 생활, 곧 개인적으로 그리스도를 누리는 생활을 해야 한다. 그럴 때 우리는 단체적으로 그분을 함께 누려, 살아 계신 하나님의 성전이자 집인 그리스도의 몸을 건축할 수 있다 . 고전 3:17, 딤전 3:15.

B. 하나님의 뜻은 우리가 그리스도를 누리는 것이다(히 10:5-10, 고전 1:9). 우리는 모든 상황에서 그리스도를 누리고 체험하기를 추구해야 한다(빌 3:7-14).

C. 그리스도는 한량없이 풍성하시지만 주님의 자녀들이 나태하기 때문에, 오늘날 교회가 빈곤 가운데 허덕이고 있다 . 잠 6:6-11, 24:30-34, 26:14, 마 25:26, 30.

D. 우리는 주님께 경배하기 위해 집회에 올 때 빈손으로 와서는 안 된다. 우리의 두 손은 그리스도의 소산으로 가득해야 한다. 신 16:15-16.

1. 우리는 그리스도로부터 충분한 소산을 내야 한다. 그럴 때 가난한 이들과 빈곤한 이들,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을 위해 남겨진 여분의 몫과 주님 자신을 위한 최상품이 있을 것이다 . 신 15:11, 18:3-4, 12:11.

2. 그리스도로 하나님께 경배하는 것은 서로 함께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 그리스도를 누림으로써, 하나님의 모든 자녀들과 함께 단체적으로 하나님께 경배하는 것이다 . 고전 14:26.

E. 이기는 이들이 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우리의 좋은 땅이신 그리스도에 대해 수고해야 한다. 즉 우리의 누림이신 그리스도를 얻어야 한다.

1. 매일 아침 우리는 그리스도를 누리고 체험하는 이 단순한 목적을 위해 우리 자신을 진지하게 주님께 헌신해야 한다 . 비교 빌 3:13-14.

2. 매일 우리는 홀로 은밀하게 주님과 함께하는 시간을 보내면서 그분과 친밀한 교통을 나누어야 한다 . 마 14:22-23, 6:6, 출 33:11상.

3. 우리는 매일 아침 일찍 말씀 안에서 주님을 누림으로써 날마다 새로운 출발을 가져야 한다 . 시 119:147-148.

4. 우리는 죄들을 철저히 처리함으로써 우리와 주님 사이를 가로막는 것이 아무것도 없게 해야 한다 . 요일 1:7, 9, 비교 겔 1:22, 26.

5. 우리는 기도 생활을 함으로써 매 순간 주님과의 교통을 유지해야 한다 . 고후 13:14, 빌 4:6-7, 애 3:55-56, 비교 마 11:25-26.

6. 우리는 우리의 시간을 아끼고 우리의 힘을 들여서 하나님의 거룩한 말씀으로 적셔지고 잠겨야 한다 . 딤후 3:16-17, 골 3:16.

7. 우리는 항상 기뻐하고 끊임없이 기도하며 모든 일에 감사함으로써, 시간을 아껴 영 안에서 충만해져야 한다 . 엡 5:18, 살전 5:16-19.

8. 좋은 땅이신 그리스도의 풍성을 체험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우리의 영에 의해 지배받고 통제받고 지시받고 움직이고 인도받아야 한다 . 고후 2:13.

9. 좋은 땅이신 그리스도의 풍성을 체험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그리스도의 인격, 임재, 얼굴 안에서 살아야 한다 . 고후 2:10, 4:6-7, 3:16-18, 12:2상.

a. 모든 것을 포함한 땅이신 그리스도를 소유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그분의 인격 곧 그분의 임재에 의해 통제받아야 한다. 출 33:14.

b. 바울은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 살았기 때문에 변함없는 분(고후 1:17-20)이시고, 온유와 관대(10:1)와 진실성(11:10)과 능력(12:10, 13:4)과 은혜(13:14)이시며, 바울 자신 안에서 말씀하시는 분(13:3, 비교 2:17)이신 그리스도를 체험했다.

10. 우리는 성령의 파쇄하시고 조성하시는 일을 통해 은혜, 곧 좋은 땅의 실재이신 그리스도를 받아들여 우리의 내적 존재가 신성한 삼일성으로 재건축된다 . 고후 12:7-10, 13:14.


Ⅲ. 우리는 함께 모여 우리가 경작한 그리스도, 곧 우리가 누리고 체험한 그리스도를 전람해야 한다 . 신 14:22-23.


A.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그리스도를 개인적으로 누림으로써 집회 생활에서 그분을 단체적으로 누릴 때, 하나님은 우리 가운데 계시며 우리는 그분의 거처와 왕국이 된다.

B. 우리가 이러한 정도까지 그리스도를 누릴 때 교회 집회는 하나님으로 충만할 것이며, 집회의 모든 활동은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전달하고 전해 주어 하나님을 주입받게 할 것이다 . 고전 14:25.

C. 하나님의 모든 백성이 그리스도로 충만하고 그리스도로 빛나며 자신이 경작한 그리스도를 전람하고 있을 때,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께 참된 경배를 드린다.

D. 모든 집회에서 우리는 하나님과 참석자들에게 드릴 자원 제물로서 말할 무언가를 항상 갖고 있어야 한다 . 고전 14:26.

1. 집회에 오기 전에 우리는 주님께 속한 무언가를 가지고 집회에 올 수 있도록 우리 자신을 준비해야 한다. 우리는 주님을 체험하는 것을 통해서나 그분의 말씀을 누리고 기도 가운데서 그분과 교통하는 것을 통해서 준비할 수 있다.

2. 집회에 온 후에 우리는 영감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우리는 우리의 영을 훈련하고 우리의 훈련된 생각을 사용하여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우리가 준비한 것을 주님의 영광과 만족을 위해 주님께 내놓으며, 참석자들의 유익을 위해 즉 그들이 빛 비춤 받고 영양 공급을 얻고 건축되도록 그들에게 내놓아야 한다 . 고전 14:31-32.


Ⅳ. 우리는 단체적인 경배를 드리기 위해 주님께서 선택하신 곳에서, 즉 우리의 영 안에서와 하나라는 유일한 터 위에서 주님의 자녀들과 함께 모여야 한다 . 신 12:5, 11, 13-14, 18, 16:16, 요 4:24.


A. 먼저, 하나님의 성소 곧 그분의 처소는 우리의 영 안에 있으며(엡 2:22), 또한 하나님의 성소는 교회이다(딤전 3:15). 그러므로 하나님의 성소 안으로 들어가려면, 우리는 우리의 영으로 돌이켜야 하며 교회 집회에 가야 한다. 우리의 영 안에서 그리고 교회 안에서 우리는 신성한 계시를 받고 우리의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게 된다(시 73:16-28).

B. 우리는 하나라는 진정한 터 위에서 그리스도의 몸의 유일한 하나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1. 교회생활의 실행은 한 도시에 한 교회를 갖는 실행, 곧 한 도시에 오직 하나의 교회만 있는 실행이다 . 행 8:1, 13:1, 고전 1:2, 계 1:11.

2. 하나라는 진정한 터 위에서 우리는 주님을, 바르는 기름과 신선하게 하는 이슬과 하나님께서 명하신 생명의 축복으로 누린다 .시 133편.

C. 주님께서 선택하신 곳에는 네 가지 특징이 있다.

1. 주님께서 선택하신 곳에는 그리스도의 이름 외에 다른 어떤 이름도 있어서는 안 된다 . 신 12:5, 계 3:8.

2. 주님께서 선택하신 곳은 영을 사용하는 것으로 충만하다 . 엡 2:22, 요 4:24, 딤전 4:7, 고전 14:32.

3. 주님께서 선택하신 곳은 그리스도의 풍성을 누리는 장소이다 . 신 12:7, 18, 시 36:8-9.

4. 주님께서 선택하신 곳은 기뻐하는 장소이다 . 신 12:7, 12, 18, 시 42:4, 122:1.


Ⅴ. 우리가 좋은 땅이신 그리스도의 모든 것을 포함한 풍성을 누린 결과는 성전인 하나님의 거처와 성(城)인 하나님의 왕국, 곧 교회이다 . 엡 2:21-22.


A. 성전과 성이 있는 그 땅이 하나님의 계획의 중심이다 . 왕상 8:48과 각주 1.

1. 그 땅은 그리스도 자신이며, 성전과 성은 그리스도의 충만인 그분의 몸, 곧 교회이다 . 엡 1:22-23, 2:21-22.

2. 성전은 하나님의 표현을 위한 것이고, 성은 하나님의 통치를 위한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을 성취한다 . 창 1:26.

B. 하나님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님의 집, 곧 하나님의 거처의 주된 방면들은 하나님의 임재에 대해 말해 준다.

1. 하나님의 집은 하나님의 임재가 있는 곳인데, 하나님의 임재는 곧 하나님의 영광(시 26:8, 29:9)과 하나님의 아름다움(27:4, 8)과 하나님의 풍성(36:8-9)이다.

2. 하나님의 집은 계시와 하나님의 응답이 있는 곳이다 . 시 73:16-17, 3:4, 18:6.

3. 하나님의 집은 우리의 은신처이다 . 시 27:5, 비교 31:20, 84:3.

4. 하나님의 집은 우리가 심어지고 번성하고 열매 맺을 수 있는 곳이다 . 시 92:13-14.

5. 하나님의 집은 샘들이 있는 곳이다 . 시 87:7.

6. 하나님의 집은 우리가 힘을 얻는 곳이다 . 시 68:35, 96:6.

7. 하나님의 집은 우리가 하나님과 연합되는 곳이다 . 시 92:10.

8. 하나님의 집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몫이 되시는 곳이다 . 시 73:26.

C. 하나님의 통치를 위한 하나님의 성, 곧 하나님의 왕국의 주된 방면들은 하나님의 권위에 대해 말해 준다.

1. 하나님의 성은 강한 성, 곧 크신 왕의 성이다 . 시 31:21, 48:2.

2. 하나님의 성안에는 강이 하나 있어 그 흐름이 성을 즐겁게 한다. 시 46:4-5.

3. 하나님은 성안에서 자신을 알리시고, 성안에서 피할 높은 산성이시다 . 시 48:3.

4. 이 성은 원수를 두렵게 한다. 시 48:3-6, 76:2-3.

5. 이 성은 더없이 아름답다 . 시 50:2.

6. 이 성은 하나님의 선한 기쁨의 목표이다 . 시 51:18.

7. 하나님은 성안에 심판의 보좌들을 두신다.시 122:5.

8. 주님은 그 성에서부터 다른 이들을 축복하시며, 그 성에서부터 찬양을 받으신다 . 시 134:3, 135:21.


Ⅵ. 우리가 좋은 땅이신 그리스도를 누린 궁극적인 결과는 하나님의 영원한 거처와 왕국인, 과정을 거치신 삼일 하나님과 그분께서 거듭나게 하시고 변화시키시고 영광스럽게 하신 세 부분으로 된 사람들의 신성하고도 인간적인 합병체이다 . 계 21:3, 22, 22:5.


추천 스크랩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