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 - 큰 빛, 권위를 가지신 분, 의사, 신랑, 생 베 조각, 새 포도주 이신 그리스도
7차집회개요
작은감자 2024-08-08 , 조회 (109) , 추천 (0) , 스크랩 (0)
출처
원문

전체 주제: 그리스도를 체험하고 누리고 표현함 (1)


M1 큰 빛, 권위를 가지신 분, 의사, 신랑, 생 베 조각, 새 포도주 이신 그리스도

성경: 마 4:16, 8:5-13, 9:9-17


Ⅰ. 그리스도는 어둠에 앉아 있는 사람들을 비추고 죽음의 땅과 죽음의 그늘에 앉아 있는 사람들에게 떠오르는 큰 빛이시다 - 마 4:16, 요 1:4-5, 12:36, 엡 5:8, 골 1:12-13, 고후 4:6-7, 행 26:18.


A. “이것은 우리 하나님께서 긍휼히 여기시는 마음에서 온 것이다. 이로써 돋는 해가 높은 곳에서 우리에게 임하여,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아 있는 사람들에게 빛을 비추어, 우리의 발을 평안의 길로 안내할 것이다.” 눅 1:78-79, 6:36, 애 3:22-23.

B. “내 이름을 경외하는 너희에게는 의의 해가 치료하는 날개를 지니고 떠오르리니, 너희가 나아가 잘 먹인 송아지처럼 뛸 것이다.” 말 4:2, 시 84:11, 86:11.

C. 시편 22편은 ‘새벽 암사슴에 맞춘’ 시이다 제목.

D. “여호와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 힘 있게 돋는 해와 같게 하여 주십시오.” 삿 5:31하, 사 60:1, 5상.

E. “의인들의 길은 여명의 빛 같아 / 점점 더 밝게 빛나 한낮에 이른다.” 잠 4:18, 빌 2:15-16상.

F. “그때에 의인들은 그들의 아버지의 왕국에서 해처럼 빛날 것입니다.” 마 13:43상.


Ⅱ. 백부장은 주님께서 권위 아래 있는 사람이시기 때문에 권위를 갖고 계신 분이시라는 것을 보았다. 마 8:5-13.


A. 백부장이 “나도 권위 아래 있는 사람이고”라고 말했을 때, 그는 주님께서 권위 아래 있는 사람이신 것을 알아보았다. 백부장은 권위 아래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자신 아래에 있는 사람들에게 명령할 권위를 갖고 있었다. 마 8:9상.

1. 이 땅에서 인성을 가지신 하나님-사람으로서 주 예수님은 절대적으로 아버지의 신성한 생명의 다스림 아래 계셨다 . 요 5:19, 4:34, 17:4, 14:10, 24, 5:30, 7:18.

2. 사람으로서 그분은 자신의 타고난 인성을 거절하셨으며, 하늘의 아버지의 신성한 생명의 제한 아래 인간 생활을 하셨다.

3. 그분은 실지적으로 아버지의 신성한 생명의 다스림 아래 계심으로써 생명 안에서 왕으로서 다스리고 계셨다 .빌 2:8-11.

4. 그분은 아버지의 권위 아래 계신 사람이셨기 때문에 아버지의 권위를 가지셨다.

5. 우리와 주님 사이에 막힌 것이 아무것도 없이, 우리가 두려운 수정 같은 맑은 하늘(선하고 순수한 양심)을 가질 때, 우리는 주님의 다스리는 임재라는 하늘에 속한 상황과 분위기와 상태로 충만하게 되어, 우리 안에서 왕으로서 다스리는 은혜에 의해 생명 안에서 왕으로서 다스리게 된다 . 겔 1:22, 26, 계 22:1, 롬 5:17, 21, 히 4:16, 비교 골 1:13.

B. 백부장은 주 예수님의 권위를 인식했다 . 마 8:9.

1. 주님과 관련하여, 주님의 권위는 주로 그분의 말씀으로 행사된다 . 마 8:8.

2. 우리와 관련하여, 주님의 권위는 그분께서 우리 안으로 주입하신 믿음을 통해 행사된다 . 마 8:10, 13, 히 12:2.

C. 주 예수님은 이 땅에 계실 때 권위를 가진 분으로서 가르치셨다 . 마 7:28-29, 막 1:22.

1. 스스로 공허한 지식을 가르쳤던 자칭 율법 학자들에게는 권위도 능력도 없었다 . 비교 고후 3:6, 8.

2. 하나님께 권위를 받은 선생으로서 하나님에 의해 실재들을 가르치신 주 예수님은 사람들을 굴복시키시는 영적인 능력뿐 아니라, 그들을 신성한 다스림에 복종시키시는 신성한 권위도 있으셨다 . 사 30:20-21, 마 23:8, 10.


Ⅲ. 왕국을 위해 자신을 따르도록 사람들을 부르셨을 때, 하늘에 속한 왕국의 왕이신 주 예수님은 의사로서 사역하셨다 . 마 9:9-13.


A. 재판관이 심판하는 것은 의에 따른 것이지만, 의사가 병을 고치는 것은 긍휼과 은혜에 따른 것이다.

B. 주님께서 가련한 사람들인 우리에게 재판관으로서 찾아오셨다면, 우리 모두가 유죄판결을 받고 거절당했을 것이며, 우리 중 아무도 하늘에 속한 왕국의 백성으로서 자격이 있거나 선택을 받거나 부름받지 못했을 것이다 . 마 8:2-16, 28-32, 9:2-11, 시 103:1-4, 107:17-22.

C. 그러나 그분은 우리를 고치고 회복하고 살리고 구원하는 의사로서 사역하시러 오셨는데, 그 목적은 우리를 하늘의 새로운 시민들로 재조성하시고, 우리를 통하여 그분의 하늘에 속한 왕국을 이 타락한 세상에 세우시기 위함이었다.

D. “의인은 없으니, 하나도 없다.”(롬 3:10) 모든 ‘의인’은 바리새인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스스로 의롭다고 하는 이들이다(눅 18:9). 왕이신 구주는 이러한 사람들을 부르러 오신 것이 아니라 죄인들을 부르러 오셨다.

E. 우리의 의사이신 주님은 우리의 영적인 질병을 치료하시면서 주로 우리의 영과 혼을 치료하신다. 세리들과 죄인들은 신체적으로 병든 것이 아니라 영적으로 병들어 있었다. 마 9:10, 13, 잠 4:20-23.

F. 우리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를 체험하고 십자가에 못 박힌 생활을 할 때,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치료하는 능력이 되시며 주님께서 우리의 치료자가 되신다 . 출 15:22-27.


Ⅳ. 그리스도는 우리의 신랑이시다 . 마 9:14-15.


A. 의사와 신랑은 다 즐거움을 주는 사람들이다. 왕이신 구주는 먼저 그분을 따르는 사람들을 낫게 하셨고, 그다음에 그들을 신랑의 친구들이 되게 하셨으며, 결국에는 그들을 신부로 삼으실 것이다.

B. 우리는 우리의 생명이 회복될 수 있도록 그분을 우리의 의사로 붙잡아야 할 뿐 아니라, 그분의 임재 안에 사는 기쁨을 갖도록 그분을 우리의 신랑으로 붙잡아야 한다 . 빌 3:12-13.

C. 그 영은 아버지에 의해 임무를 수행하도록 보냄을 받으셨는데, 그 임무는 그리스도의 풍성으로 우리를 아름답게 하여 그리스도의 신부가 되게 하는 것이다 . 창 24장, 엡 5:25-27.


Ⅴ. 그리스도는 생 베 조각이시며 우리의 새 옷이시다 . 마 9:16, 눅 5:36.


A. ‘생’이라는 말은 ‘빗질하지 않은’, ‘김을 쐬어 씻지 않은’, ‘끝손질하지 않은’, ‘처리하지 않은’을 의미한다.

B. 생 베란 육체가 되심부터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까지의 그리스도, 곧 처리되지 않고 끝 손질되지 않은 생 베 조각 이신 그리스도를 상징하지만, 누가복음 5장 36절에 있는 새 옷은 십자가에 못 박히셔서 ‘처리되신’ 후의 새 옷이신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C. 그리스도는 먼저 새 옷을 만들기 위한 생 베이셨고, 그다음 그분의 죽음과 부활로 말미암아 우리가 하나님에 의하여 의롭게 되고 하나님께 기쁘게 받아들여지도록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의로서 우리를 덮는 새 옷으로 만들어지셨다 . 눅 15:22, 갈 3:27, 고전 1:30, 시 45:13-14, 계 19:8, 렘 2:32.

D. 낡은 옷에 대고 기운 생베 조각은 그 수축하는 힘으로 옷을 당기어 더 찢어지게 한다. 생 베 조각을 낡은 옷에 대고 깁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인생을 사시면서 이 땅에서 하신 것을 사람들이 모방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구속자이신 예수님, 곧 그들의 의이신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믿지 않음으로써, 하나님께서 그들을 의롭다고 하시어 그들을 받으실 수 있도록 하지 않는다.

E. 그들이 그리스도의 인간 생활을 모방하는 것은 타고난 옛 생명에서 산출된 행위인 그들의 ‘낡은 옷’을 ‘당기는 것’이다.

F. 왕국 백성은 이렇게 하지 않는다. 그들은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하나님 앞에서 그들의 의로서 그들을 덮는 새 옷으로 취한다.


Ⅵ. 그리스도는 ‘새(fresh)’ 가죽 부대에 넣어야 할 우리의 ‘새(new)’ 포도주이시다 . 마 9:17.


A. ‘새(new)’의 헬라어 단어는 ‘시간상 새로운’, ‘최근의’, ‘새로 소유한’을 의미한다.

1. 새 포도주는 힘을 북돋아 주는 새 생명이신 그리스도를 상징하는데, 이 생명에는 우리를 강화하고 활력 있게 하고 매우 기쁘게 하는, 힘을 북돋아 주는 능력이 있다 . 삿 9:12-13.

2. 모든 종교는 낡은 가죽 부대이다.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으면, 새 포도주의 발효시키는 힘이 그 가죽 부대를 터뜨린다.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는 것은 열광하게 하는 생명이신 그리스도를 어떤 종교 안에 넣는 것이다 . 마 9:14-15.

3. 종교적이라는 것은 하나님께 경배하고 하나님을 섬기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고 여러 가지 일을 하지만 그 영이신 그리스도를 떠나, 그 영이신 그리스도 없이 하는 것이다 . 비교 갈 1:14-16상.

B. ‘새(fresh)’의 헬라어 단어는 본성이나 품질이나 형태에 있어서 ‘새로운’, 즉 ‘익숙하지 않은’, ‘사용하지 않은’을 의미한다.

1. 새 가죽 부대는 새 포도주, 곧 열광하게 하는 생명이신 그리스도 자신을 담는 그릇인 각 지방에 있는 교회들 안에 있는 교회 생활을 상징한다.

2. 개인적인 그리스도는 새 포도주, 곧 열광하게 하는 내적인 생명이시고, 단체적인 그리스도는 새 가죽 부대, 곧 새 포도주를 담는 외적인 그릇이다. 단체적인 그리스도인 교회는 포도주 이신 개인적인 그리스도를 담는 새 가죽 부대이다.

a. 그리스도의 확대인 교회는 그리스도로 충만하고 그리스도로 조성되어 있다.

b. 하나로 함께 구성된 지체들은 한 몸이며, 이 몸은 그리스도이다. 그리스도는 몸의 머리이시자 머리의 몸이시다 . 고전 12:12, 행 9:5.

c. 그리스도는 나누어지지 않으신다. 여러분 안에 계신 그리스도는 내 안에 계신 그리스도와 하나이시며,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는 다른 모든 그리스도인 안에 계신 그리스도와 하나이시다 . 고전 1:10, 13상.

d.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그분으로 충만한 많은 지체로 구성된 몸이시다. 이것이 새 가죽 부대, 곧 새 포도주 이신 그리스도를 담고 있는 교회 생활이다.

3. 교회 사람들 가운데서 새 옷과 새 포도주와 새 가죽 부대가 모두 회복되었다. 우리는 단체적인 방식으로 그리스도를 우리의 교회 생활로 소유하고 있으며, 가죽 부대인 교회가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추천 스크랩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