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정보의 바다 - 인터넷(Internet)(2)
pc하드웨어 이해하기
하나님-사람 2011-12-14 , 조회 (1215) , 추천 (0) , 스크랩 (0)
출처
원문

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정보의 바다 - 인터넷(Internet)

인터넷의 확장, 그리고 상업화

그리고 1986년, 미국 국립과학재단은 미국내 5개 슈퍼 컴퓨터를 연결한 TCP/IP 기반의 통신망인 ‘NSFNET(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twork)’을 구축했다. NSFNET은 학술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고 1988년, 알파넷이 NSFNET에 흡수됨에 따라 거대한 네트워크망이 완성되어 인터넷은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다만, NSFNET은 정부 지원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학술 연구 및 교육분야 외에는 이용이 제한되었다.

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정보의 바다 - 인터넷(Internet) (4)

이에 따라 인터넷을 상용으로 쓰고자 했던 미국의 통신 사업자들은 1991년, CIX(Commercial Internet eXchange)라는 협회를 구성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인터넷 기간 통신망을 구축하기에 이른다. 시간이 흐르면서 CIX에는 미국 외에도 여러 국가들의 기업들이 참여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인터넷의 상업화는 급격하게 진행된다.

월드와이드웹(WWW)의 도입, 현대적인 인터넷의 탄생

1980년대 말부터 인터넷의 망(web) 자체는 급속도로 퍼지기 시작했으나 메일을 주고받거나 특정 목적의 프로그램끼리 통신하는데 주로 쓰였기 때문에 이용형태 및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1989년, 영국의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 1955 ~) 박사는 문자 및 그림, 음성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 방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 뒤,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표준 문서 형식을 규정하고 문서 속에 연결된 특정 항목은 또 다른 문서로 연결되는 정보 검색 시스템을 제시했다.

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정보의 바다 - 인터넷(Internet) (5)

이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이라는 세계적인 정보 공유공간 및 이를 구성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Hypertext: 서로 연결되는 문서) 방식의 인터넷 표준문서인 ‘HTLM(HyperText Markup Language)’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WWW는 1991년 8월 6일에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세계 최초의 홈페이지(Home Page)도 이날 처음 공개되었다. 현재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인터넷’의 형태, 즉 웹 브라우저(web browser: HTML 문서를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그램)를 구동해 각종 인터넷 문서를 읽고 검색하는 모습이 이때부터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정보의 바다 - 인터넷(Internet) (6)

그리고 WWW의 개념을 처음 구상한 팀 버너스 리는 그 외에도 인터넷 데이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WWW 상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그리고 세계 최초의 웹 브라우저 등의 설계 및 규격 제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WWW가 인터넷 서비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자 팀 버너스 리는 ‘WWW의 아버지’, 혹은 ‘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게 된다.

한국 인터넷의 태동과 발전

한국에서는 1982년 서울대학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이에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을 구축한 것을 인터넷의 시초로 보고 있다. 그리고 1986년 7월에 IP주소를 처음으로 할당 받았고, 같은 해 9월 한국데이터통신(1991년에 ‘데이콤’으로 사명 변경)에서 비디오텍스트(VT: Video Text)기반 PC통신 서비스인 ‘천리안’을 시작하면서 한국에도 인터넷 서비스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리고 1994년, 한국통신(현재의 KT)에서 한국인터넷(코넷: KORNET)이라는 브랜드를 내놓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WWW 기반의 인터넷 접속 및 계정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인터넷 대중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정보의 바다 - 인터넷(Internet) (7)

1990년대까지는 대부분의 한국 사용자들이 속도가 느린 전화 회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했다. 하지만 1998년에 두루넷(2005년에 하나로 텔레콤에 합병)이 케이블 TV망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Broadband) 서비스를 한국 최초로 시작하면서 인터넷 속도는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때마침 전국적으로 PC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던 시기와 맞물려 2000년대에 이르러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었다.

2011년 현재, 세계적으로 20억 명 이상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PC(개인용 컴퓨터) 외에도 휴대전화, TV 등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 접속 기능을 속속 갖추고 있으며, 제3세계를 중심으로 한 IT 기기 보급률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인터넷 사용자 증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http://it.donga.com/openstudy/7657/?page=2

pc

추천 스크랩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