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 스크린과 터치 조작으로 즐기는 휴대용 게임기 - 닌텐도 DS(Nintendo DS)(2)
하드웨어소개및사용기
하나님-사람 2012-03-02 , 조회 (2287) , 추천 (0) , 스크랩 (0)
출처
원문

듀얼 스크린과 터치 조작으로 즐기는 휴대용 게임기 - 닌텐도 DS(Nintendo DS)

닌텐도 DS의 시리즈화

2004년에 출시된 첫 모델 이후에도 닌텐도 DS는 몇 가지의 개량 모델이 추가로 출시되었다. 2006년(한국 시장에는 2007년)에 첫 출시된 ‘닌텐도 DS 라이트(Lite)’가 대표적인데, 이는 기존 닌텐도 DS를 슬림화, 경량화 한 것으로, 세계 시장에 판매된 닌텐도 DS 시리즈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모델이기도 하다.

듀얼 스크린과 터치 조작으로 즐기는 휴대용 게임기 - 닌텐도 DS(Nintendo DS) (4)

2008년(한국 시장에는 2010년)에는 또 다른 개량 모델인 ‘닌텐도 DSi’도 출시되었다. 닌텐도 DSi는 화면 크기가 3인치에서 3.25인치로 커졌으며, 본체 전면과 후면에 카메라를 탑재했다. 사진을 찍는 것 외에도 촬영 기능을 응용한 전용 게임 소프트가 출시되기도 했다. 또한, 본체에 콘텐츠 저장 공간을 마련하고 SD 메모리 카드 슬롯도 추가되어 인터넷 상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내려 받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듀얼 스크린과 터치 조작으로 즐기는 휴대용 게임기 - 닌텐도 DS(Nintendo DS) (5)

그 외에 2009년에는 닌텐도 DSi를 대형화하여 화면 크기를 4.2인치까지 키운 ‘닌텐도 DSi LL(일본판은LL, 북미판은 XL)’도 출시되었다. 이는 닌텐도 DS를 주로 가정에서 플레이하는 사용자들, 혹은 큰 화면을 선호하는 중 장년층을 대상으로 개발된 모델이지만 한국에서는 출시된 바 없다.

안경 없이 입체 화면 즐길 수 있는 후속 모델, ‘닌텐도 3DS’

닌텐도 DS 시리즈는 2011년 까지 세계적으로 총 1억 5천만대 가량이 판매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출시된 지 7년이 넘어가면서 판매량이 한풀 꺾이기 시작했고, 경쟁사인 소니에서 PSP의 후속 모델 개발에 착수함에 따라 닌텐도 역시 닌텐도 DS의 개량 모델이 아닌 완전한 후속 모델을 내놓을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2011년에 ‘닌텐도 3DS’를 내놓게 된다.

듀얼 스크린과 터치 조작으로 즐기는 휴대용 게임기 - 닌텐도 DS(Nintendo DS) (6)

닌텐도 3DS는 2개의 화면과 터치스크린으로 대표되는 닌텐도 DS의 특징을 계승하면서, 안경을 쓰지 않아도 입체감 있는 화면을 볼 수 있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 외에도 입체 사진을 찍을 수 있는 3D 카메라를 탑재했으며, 기울인 각도에 따라 입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아날로그 방향 스틱 및 본체를 기울이거나 흔들어 게임 조작을 할 수 있는 모션센서도 갖췄다.

닌텐도 3DS는 기능적으로는 크게 발전했지만 하드웨어의 성능, 특히 그래픽의 수준은 PSP 보다 다소 나은 정도로 평가 받고 있으며, 직접적인 경쟁모델인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비타(PS비타)에 비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닌텐도 DS와 마찬가지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게임기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닌텐도 DS에서 인기를 끌었던 게임들의 후속작이 닌텐도 3DS용으로 다수 출시된다면 안정적인 판매량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http://it.donga.com/openstudy/8430/?page=2

pc,닌텐도

추천 스크랩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