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해당 제품의 가장 큰 기능/외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풀어나가는 리뷰
“이것저것 욕심은 많은데 정작 자신만의 색깔이 없네요. 지루하고 졸려요.”
“분명히 실력은 갖췄습니다만, 기존 선발주자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지는 의문입니다.”
요새 태블릿PC 시장을 살펴보면 인기 오디션 프로그램의 심사평가를 그대로 가져와도 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휴대폰 제조사, PC 제조사 할 것 없이 너도나도 태블릿PC를 내놓고 있는데, 생김새와 하드웨어 사양 또는 성능이 모두 오십보백보다. 그러다 보니 ‘태블릿PC가 인기니 어떻게든 팔리겠지’라는 생각으로 내놓은 무난한 제품들은 금세 기억에서 잊혀지고 만다. A사와 S사 제품에 비해 분명히 우위에 설 차별점은 커녕 오히려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는 제품은 바로 도태될 정도로 태블릿PC 시장은 이미 레드오션이 되어 버렸다.
지난해 도시바가 내놓은 안드로이드 태블릿PC ‘AT100’도 예외는 아니었다. 듀얼코어 CPU, 메모리, 배터리 등 기본 사양은 나무랄 데 없었지만 무언가 강력한 ‘한 방’이 없었다. 마이크로 SD카드, USB 포트, HDMI 등을 모두 지원하는 확장성은 좋았으나 그의 반대급부로 몸에 지나치게 살이 붙었다. S사의 경쟁제품에 비해 곱절이나 두툼한 두께 때문에 각종 외신들의 집중포화를 맞았고(눈에 띄게 두껍고 무거운 것도 차별점이라면 차별점이겠지만), 판매량은 예상치를 밑돌았다.
도시바가 절치부심한 것일까. 이번에 출시된 후속작 ‘AT200’은 확실히 달라진 모습을 보여준다. 일단 두께부터 파격적으로 줄어들었다. AT100(15.8mm)의 절반도 채 안되는 7.7mm로, 2012년 3월 초 현재 현존하는 10인치 태블릿PC 중에서는 가장 얇다. 비교 대상이 되던 S사 제품보다도 얇아졌으니, 도시바가 확실히 칼을 제대로 갈았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단점을 오히려 장점으로 바꿔버린 도시바 입장에서는 일대 혁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작의 최대 장점이던 확장성은 온전히 계승했다. 외장 마이크로 SD카드, 마이크로 USB, HDMI를 모두 지원한다. 물론 이들이 태블릿PC에 꼭 있어야 하는 기능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있어서 나쁠 것은 없으니 이 또한 AT200만의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영문과 숫자로 평범하게 조합한 제품 이름이 좀 걸린다. 이는 오디션 참가자로 치면 선곡의 문제라고 할 수 있는데, ‘XXX탭’, ‘XXX패드’ 등의 이름에 익숙한 태블릿PC 소비자들에게는 부르기도, 기억하기도 너무 어려운 제품 이름이다. 어쩌면 브랜드를 빌려 올 만한 스마트폰 라인업이 없는 PC 제조사로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도시바 AT200의 외관은 기존 태블릿PC보다는 자사의 울트라북 제품에 가깝다. 화면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앞면이야 별다를 것이 없지만, 금속성의 은회색 뒷면은 분명 울트라북의 그것이다. ‘이것이 바로 PC 제조사가 만든 태블릿PC’라는 무언의 항변이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을 채택해 디자인, 내구성, 휴대성 등을 모두 잡으려고 한 노력이 엿보인다. 브러쉬 무늬가 뒷면 전체에 새겨져 촉감도 좋다. 다만 마찰이 잦은 뒷면이다 보니 미세한 생채기는 완전히 피할 수 없는데, 보호 케이스를 씌워서 완전히 가리기는 아깝게 느껴질 디자인이다.
측면을 보면 7.7mm의 얇은 두께를 실감할 수 있다. 얇기는 정말 얇다. 어떻게 이렇게 두께를 줄일 수 있었을까? 더욱이 일체의 눈속임이 없이 두께가 일정한 ‘정직한 디자인’에서 도시바의 자신감을 확인할 수 있다. 측면 가운데를 따라서 검은색 라인이 새겨져 있는데, 볼륨 버튼 및 전원 버튼도 검은색으로 통일해 일관성을 유지했다. 보기에는 좋지만 처음 AT200을 접하는 사람이라면 버튼을 찾지 못해 애를 먹을 것 같다. 그래서 인지 버튼이 작고 길쭉한 형태라 누르기는 다소 불편하다. 디자인을 위해 편의성을 희생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