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 가격과 작은 크기를 추구하는 초소형 노트북 - 넷북(Netbook)(2)
하드웨어소개및사용기
하나님-사람 2012-04-17 , 조회 (1003) , 추천 (0) , 스크랩 (0)
출처
원문

싼 가격과 작은 크기를 추구하는 초소형 노트북 - 넷북(Netbook)

넷북의 특징

넷북의 전반적인 형태는 일반 노트북과 크게 다르지 않고, 제조사마다 약간씩 특성이 다르지만 크기나 성능, 기능 면에서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크기 및 무게

화면 크기는 10인치 남짓이며 무게는 900g ~ 1.3Kg 사이의 소형 경량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화면의 해상도는 16 : 10 와이드 비율의 1024 x 600를 채택한 경우가 가장 많아서 포탈 사이트의 메인 화면이나 문서작성기의 창 1개 정도의 페이지를 띄우고 쓰기에는 무난하지만, 그 이상의 동시 작업을 하기엔 다소 불편하다.

싼 가격과 작은 크기를 추구하는 초소형 노트북 - 넷북(Netbook) (4)

성능 관련

CPU는 인텔의 아톰을 탑재한 제품이 가장 많으며 AMD의 애슬론 네오, 혹은 퓨전(Fusion) C시리즈 APU를 탑재한 제품도 있다. 이들은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는 전력 소모 감소에 주력하는 저전력 CPU이므로 3D 게임이나 고화질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동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인터넷 서핑이나 문서 작성, 음악 감상 정도의 작업을 하기에는 큰 문제가 없으며, 일반 노트북에 비해 배터리 유지 시간도 긴 편이다.

입출력장치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기본으로 갖춘 전형적인 노트북의 형태를 띤 제품이 압도적으로 많다. 기존의 노트북을 써본 경험이 있다면 대부분 무난하게 이용이 가능하지만, 화면 크기가 8인치 급 이하인 초소형 제품의 경우 키보드의 키가 작아서 타자에 불편을 겪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넷북이 2~3개의 USB 포트를 갖추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별도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싼 가격과 작은 크기를 추구하는 초소형 노트북 - 넷북(Netbook) (5)

통신 및 외부 인터페이스

대부분의 제품이 유선랜 포트 및 와이파이(Wi-Fi) 방식의 무선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블루투스 기능까지 지원한다. 다만, 8인치 급 이하의 초소형 제품 중에는 크기를 줄이기 위해 유선랜 포트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외부 모니터 연결용 D-Sub 포트 및 TV와 연결할 때 주로 쓰는 HDMI 포트를 갖춘 제품도 있으며 이 경우엔 2개의 화면을 동시에 쓸 수 있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CD나 DVD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USB 포트를 통해 연결하는 별도의 외장 드라이브를 사용해야 한다.

운영체제

넷북이 처음 출시되던 2008년 즈음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비스타(Windows Vista)가 PC용 운영체제 시장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으나, 넷북의 성능 상 윈도 비스타를 원활히 구동하기에 무리가 있어 대부분의 넷북에 이전 버전의 운영제체인 윈도 XP가 탑재되곤 했다. 하지만 2009년에 윈도 7이 출시되면서 2010년부터 넷북에도 윈도 7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2012년 현재 출시되는 넷북에는 낮은 성능 PC에서도 원활히 구동하기 위해 일부 기능을 축소시킨 ‘윈도 7 스타터’ 에디션이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일부 넷북의 경우 판매 가격을 낮추기 위해 아예 운영체제를 제공하지 않거나 공개형 운영체제인 리눅스(Linux)가 탑재되어 출시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윈도가 탑재된 제품에 비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싼 가격과 작은 크기를 추구하는 초소형 노트북 - 넷북(Netbook) (6)

넷북의 흥망성쇠

넷북은 본격적인 세컨드 PC 시대의 개막에 즈음해 등장, 높은 휴대성과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2009년 즈음에는 전체 PC 시장의 20%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넷북의 컨셉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당수 소비자들은 일반 노트북 수준의 성능을 기대했다가 넷북을 구매한 후에 실망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

그리고 2010년에 인텔에서 넷북 수준의 휴대성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강화한 울트라씬(Ultra-Thin) 규격의 노트북을 발표했다. 그리고 같은 해에 애플의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가 대거 등장해 세컨드 PC로 각광을 받으면서 넷북의 인기는 급속히 사그라졌다. 2012년 현재, 전체 PC 시장에서 넷북이 차지하는 판매비율은 2% 남짓으로 추정되고 있다.

넷북이 예전만큼의 인기는 누리고 있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키보드를 갖춘 윈도 운영체제 기반의 휴대용 PC 중에서 가장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은 아직도 장점으로 인정받고 있다. 앞으로도 넷북은 PC를 처음 접하는 저연령층이나 노년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작은 규모나마 꾸준한 생명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http://it.donga.com/openstudy/8840/?page=2


추천 스크랩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