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 빠져야 통신비 내려간다
pc소식
하나님-사람 2012-05-11 , 조회 (447) , 추천 (0) , 스크랩 (0)
출처
원문
'거품' 빠져야 통신비 내려간다
[통신시장 첫단추 다시꿰기-4]부풀린 단말기-통신비 가격 내려야
2012.05.10. 목 14:30 입력



[강은성기자, 김현주기자] 소비자가 통신요금이 비싸다고 느끼는 것은 단지 '느낌'만이 아니다. 실제로 소비자가 지불하는 한달 통신비는 스마트폰 시대 이전인 3년전보다 2배 가까이 올랐다.

통신사들은 요금으로 3배나 비싼 단말기를 보조하느라 연일 추락한 실적표를 받고 있다. 이 와중에 요금이 비싸다며 정치권과 규제당국, 이용자로부터 동시에 눈총을 받는 것도 괴롭다.

제조사도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전략제품 1~2종에 모든 마케팅 여력을 집중하다보니 위험부담도 커졌다. '모 아니면 도'식의 사업 위험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국내에 유통된 지 2년반만에 3천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소비자와 통신사, 제조사 등 통신주체 모두가 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다.

이는 통신요금으로 비싼 단말기를 보조하면서 소비형태가 왜곡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이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통신요금과 휴대폰 단말기에 모두 붙어있는 거품이 빠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스마트폰, 해외보다 국내가 비싸다

가장 시급한 것은 단말기 가격인하다.

현재 국내에 판매되는 주요 스마트폰은 90만~100만원대가 대부분이다. 불과 3년여전 피처폰이 30~50만원대 가격을 주로 형성하던 것에 비하면 2~3배 폭등한 가격이다.

휴대폰 제조업체 측은 "스마트폰은 일반폰보다 화면이 2~3배 크다. 대화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또한 고가의 제품"이라면서 "디스플레이가 원가의 25%정도를 차지하다보니 원가상승요인이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에 듀얼코어, 쿼드코어로 진화하는 칩셋, 점점 늘어나는 내장 플래시메모리 용량 등 과거 일반폰과는 비교할 수 없는 그야말로 '손안의 컴퓨터'라는 것이 제조업체 측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현재 휴대폰 단말기 가격은 다소 '거품'이 있다는 지적이 높다.

단적인 예는 해외판매 제품과 국내 판매제품의 가격차이다. 삼성전자가 첫 출시한 갤럭시S의 경우 국내 출고가는 94만원이었지만 해외 첫 출시 가격은 750달러 선이었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80만원대에 그친다.

다른 주요 스마트폰 모델도 해외 판매가격과 국내 판매가격이 적게는 10만원에서 많게는 30만원까지 차이가 난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대해 제조사측은 "DMB 내장 등 국내형 모델은 원가 상승요인이 있다"고 해명했지만 DMB 모듈 원가를 제하더라도 국내 시장에서 폭리를 취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 업계 공통된 지적이다.

업계 고위임원은 "과거 피처폰 시절에는 국내향 모델이 해외향 모델과 비교해 비쌀수 밖에 없는 요인이 있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다를 요인이 거의 없다"고 잘라말했다.

피처폰의 국내 출시 모델은 당시 이동통신3사별로 모두 요구하는 폰 환경이 달라 별도 '튜닝' 비용이 필요했고, 국내 소비자들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해야 하는 등 약 10만원정도 비쌀 수 밖에 없는 요인이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다르다는 것이 이 임원의 설명이다. 그는 "스마트폰은 텅 빈 '공기계'로 출시돼 이용자가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채워나가는 것"이라면서 "때문에 해외향과 국내향의 가격 차이가 존재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갤럭시S와 같은 초기 모델은 R&D(연구개발) 비용을 감안해 다소 높게 책정했다 하더라도, 이제 스마트폰 판매가 본 궤도에 오른 이상 출고가격을 인하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 신제품3종. 가격은 모두 90만원대 후반이다.


◆단말기 20만원-요금 1만원 "내릴 수 있다"

보조금 때문에 출고가격을 부풀렸던 관행도 시급히 사라져야 할 폐단으로 꼽히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3월 '통신시장동향조사' 결과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택 등 제조3사는 보조금으로 인한 소비자 유인효과가 크다는 점을 감안, 이동통신3사와 함께 휴대폰 출고가를 부풀렸다고 지적했다.

공정위 신영선 시장감시국장은 "보조금을 감안해 휴대폰 가격을 높게 설정하고, 실제로 공급받은 가격과의 차이를 대리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보조금으로 지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이 가격 차이가 최대 31만원에 달했으며 소비자가 받은 보조금을 감안하더라도 19만원 정도는 비싸게 구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부풀린 출고가를 원상복귀 시킨다면 현재 스마트폰 가격은 최대 20만원정도 가격인하 요인이 있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서는 할인요금제로 포장된 통신비도 거품이 빠져야 한다.

현재 통신요금에는 단말기 가격이 포함돼 있다. 일반폰보다 스마트폰이 3배 가까이 비싼데, 그 할부요금과 보조금이 통신요금으로 전가된 것이다. 소비자들은 비싼 단말기를 구매하면서 통신사로부터 보조금이나 할인 혜택을 더 받기 위해 자신들의 이용패턴과 상관없이 더 높은 요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만약 통신사가 현재 운용하고 있는 요금제에서 할인부분을 뺀다면 요금제별로 지금보다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해지는 것이다. 현재 SK텔레콤의 경우 54요금제에서 매달 1만7천500원을, KT는 1만8천원을, LG유플러스는 2만3천100원을 할인해준다.

◆소비자는 '보조금 없다' 인식 바꿔야

무엇보다 단말기 제조업체와 이동통신사가 함께 거품을 빼려면 소비자 인식 전환이 필수다.



휴대폰 제조업체 고위 임원은 "지금 제조사는 저가 단말기를 만들 이유가 없다"고 고백했다. 100만원짜리 단말기를 만들어도 시장에서는 팔리기 때문이다.

이 임원은 "통신사와 제조사 보조금이 100만원대 단말기를 '공짜폰'으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에 제조사 입장에서는 저가형을 만들 이유가 없다"면서 "그러나 이 와중에 실력있는 중견 제조업체들은 보조금을 지급할 자본력이 없어 점차 부실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보조금을 없애고 단말기 출고가격을 인하하는 것은 공정한 경쟁과 투명한 유통구조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소비자도 더이상 '보조금'을 바라지 말고 인하된 단말기 가격과 통신요금을 정확히 인지하고 제 값을 주고 구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눈속임을 하지 않고 투명하게 가격을 20만원 내려 출고했는데 여전히 소비자가 '보조금 할인'을 요구하면 안된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제조업체도 저가형 단말기로 라인업을 확대할 수 있다. 저가형 단말기 등을 출시하서 라인업을 다각화 하면 제조사도 '전략제품' 1~2종에 사운을 거는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제조업체 고위임원은 "삼성전자의 경우 피처폰 모델은 400여종에 이르렀지만, 스마트폰 모델은 40여종에 불과하다. 팬택이나 LG전자는 시즌별로 1~2개 전략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모든 마케팅 여력을 이에 집중한다"면서 "그만큼 위험부담이 커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저가형 모델 등으로 라인업을 다각화 하면 이번에 시행되는 블랙리스트(단말기 자급제)를 통해 유통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655667&g_menu=020300

추천 스크랩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