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서 보던 화면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블로그를 하기 위해 이미지를 남길 때 이용하는 것이 바로 ‘화면 캡처’ 기능이다. 스마트폰의 캡처 방법은 각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에 따라 다르며, 특히 안드로이드는 기종별로 또 조금씩 다르다. 이렇듯 제각각 다양한 스마트폰 화면 캡처 방법을 소개해본다.
iOS를 기반으로 한 기기(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의 화면 캡처 방법은 모두 동일하다. 캡처하고 싶은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전원 버튼과 하단 중앙에 있는 홈버튼을 동시에 꾹 누르면 된다. 카메라 셔터를 누른 것처럼 화면이 번쩍이며 ‘찰칵’ 소리가 났다면 화면이 캡처된 것이다. 캡처된 화면은 ‘사진’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캡처 기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뉜다. 원래 안드로이드 OS는 기본적으로 화면 캡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화면 캡처를 원하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최근에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캡처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폰을 내놓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최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캡처 기능을 지원하며, 캡처 방법은 제조사별, 기종별로 조금씩 다르다. 한편 오래 전에 출시된 스마트폰의 경우 캡처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별도의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삼성전자 ‘갤럭시S3’의 캡처 방법은 2가지다. 아이폰과 동일하게 전원 버튼과 홈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된다. 또 다른 방법은 모션 설정을 통해 캡처를 하는 것이다. 톱니바퀴 모양의 환경설정 앱에서 ‘모션’에 들어가면 ‘손으로 드래그하여 캡처’가 있다. 이를 V 체크해 활성화한다. 그 후 캡처하고 싶은 화면에 손날을 대고 옆으로 밀면 해당 화면이 사진으로 저장된다.
‘갤럭시노트’의 캡처 방법은 5가지다. 우선 갤럭시S3와 동일하게 전원 버튼과 홈버튼을 누르거나 손날 캡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원 버튼과 음량(-) 버튼을 함께 눌러도 캡처가 된다. 또한 S펜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S펜으로 화면을 꾹 눌러도 캡처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면 잠금 해제를 하듯이 엄지손가락으로 화면을 쓱 문질러서 캡처를 하는 방법도 있다.
‘갤럭시 넥서스’와 갤럭시 초기 모델의 경우 전원 버튼과 화살표 모양의 취소(뒤로가기)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된다. ‘갤럭시탭’의 캡처 방법은 취소 버튼을 먼저 누른 채로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LG전자의 ‘옵티머스 LTE2’의 경우 전원 버튼과 음량(-) 버튼을 누르면 된다. 한편 ‘옵티머스 빅’과 ‘옵티머스 3D’는 전원 버튼을 먼저 누른 상태에서 홈버튼을 눌러야 캡처가 된다. ‘옵티머스 뷰’의 경우에는 단말기 상단 왼쪽에 있는 ‘퀵메모' 버튼을 누르면 된다.
KT Tech의 ‘테이크 야누스’, ‘테이크 HD’로 화면을 캡처하려면 우선 환경설정을 바꿔주어야 한다. 환경설정 앱에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면 ‘화면 캡처’ 목록이 있다. 이를 V 체크해 활성화해야 한다. 그 다음부터는 원하는 화면에서 왼쪽 하단의 메뉴 버튼을 길게 누르면 된다.
팬택 ‘베가레이서2’의 캡처 방법은 전원 버튼과 음량(-) 버튼을 누르는 것이며, ‘베가 넘버5’의 캡처 방법은 전원 버튼과 홈 버튼을 누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