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2 소제물의 실재이신 그리스도를 누림으로
소제물인 그리스도인 생활과 소제물인 교회생활을 하여,
위대한 소제물인 새 예루살렘,
곧 삼일 하나님과 세 부분으로 된 사람의 연합의
궁극적인 완결인 새 예루살렘으로 완결됨
성경: 레 2:1-16, 요 6:57, 63, 12:24, 고전 10:17, 12:12, 24-25
Ⅰ. 소제물은 하나님-사람의 생활을 하신 그리스도를 예표한다 ? 레 2:1-16.
A. 소제물의 주된 요소인 고운 가루는 그리스도의 인성을 상징한다. 그리스도의 인성은 곱고 온전하며 부드럽고 균형 잡혔으며 모든 면에서 합당하여 지나침이나 부족함이 없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인간 생활과 일상의 행동이 아름답고 뛰어나다는 것을 상징한다 ? 레 2:1, 요 18:38, 19:4, 6하, 눅 2:40, 23:14, 사 53:3.
B. 소제물의 기름은 그리스도의 신성한 요소이신 하나님의 영을 상징한다 ? 레2:1, 눅 1:35, 3:22, 4:18, 히 1:9.
C. 소제물을 만들 때 고운 가루와 기름을 섞은(연합시킨) 것은 그리스도의 인성이 성령과 연합된 것을 상징하며, 또한 그리스도의 사람의 본성이 하나님의 신성한 본성과 연합된 것을 상징한다. 이러한 연합으로 말미암아 그분은 하나님-사람이 되셨고 신성한 본성과 사람의 본성을 갖고 계신데, 그분의 신성한 본성과 사람의 본성은 각각 구별되며, 제삼의 본성을 산출하지 않는다 ?레 2:4-5, 마 1:18, 20.
D. 소제물에 넣은 유향은 부활 안에 계신 그리스도의 향기를 상징한다. 유향을 고운 가루 위에 놓은 것은 그리스도의 인성이 그분의 부활의 향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 ? 레 2:1-2, 비교 마 2:11, 11:20-30, 눅 10:21.
1. 사복음서에 묘사된 것처럼 그리스도는 그분의 신성과 인성이 연합된 생활을 하셨으며, 그분께서 받으신 고난들을 통해 부활을 표현하셨다 ? 비교 요 18:4-8, 19:26-27상.
2. 영으로 충만하고 부활로 적셔진 그리스도의 생활은 하나님을 만족시키는 향기였으며, 하나님께 안식과 평안과 기쁨과 누림과 완전한 만족을 드렸다 ? 레 2:2, 눅 4:1, 요 11:25, 마 3:17, 17:5.
E. 소제물에 쳐진 소금은 그리스도의 죽음 혹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상징한다. 소금의 기능은 맛을 내고, 세균을 죽이며, 보존하는 것이다 ? 레 2:13.
1. 주 예수님은 항상 소금이 쳐진 생활, 십자가 아래 있는 생활을 하셨다 ?막 10:38, 요 12:24, 눅 12:49-50.
2. 심지어 그분은 실지로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에도 날마다 십자가에 못박힌 생활을 하시며 그분 자신과 분의 타고난 생명을 부인하시고 부활 안에서 아버지의 생명을 사셨다 ? 요 6:38, 7:6, 16-18, 비교 갈 2:20.
3. 하나님의 언약의 기본 요인은 소금으로 상징된 십자가, 곧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이다. 하나님의 언약은 십자가로 말미암아 보존되어 영원히 지속되는 언약이 된다 ? 비교 히 13:20.
F. 소제물에 누룩이 없다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 죄나 부정적인 것이 전혀 없다는 것을 상징한다 ? 레 2:4-5, 11, 고후 5:21, 히 4:15, 벧전 2:22, 눅 23:14, 비교 고전 5:6-8.
G. 소제물에 꿀이 없다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 천연적인 애정이나 천연적인 선함이 전혀 없다는 것을 상징한다 ? 레 2:11, 마 10:34-39, 12:46-50, 막10:18.
Ⅱ. 소제물은 그리스도의 하나님-사람의 생활의 복사판인 우리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예표한다 ? 레 2:4, 시 92:10, 벧전 2:21, 롬 8:2-3, 11, 13.
A. 우리는 우리의 소제물이신 그리스도를 우리의 제사장 음식으로 날마다 누려야 한다. 그럴 때 그리스도는 신성하게 부요해진 인성 안에서 또다시 이 땅에서 우리를 통해 사실 수 있다. 우리가 소제물이신 그리스도를 먹는다면, 우리는 우리가 먹은 그것이 되고 우리가 먹은 그것에 의해 살 것이다 ? 레 2:3, 요6:57, 63, 비교 시 92:10, 고전 10:17, 빌 1:19-21상.
B. 우리의 영을 사용하여 말씀 안에 응축되신 그 영을 접촉함으로써, 우리는 예수님의 인간 생명과 인간 생활을 먹고, 예수님으로 조성되며, 예수님의 인간생활이 우리의 인간 생활이 된다(엡 6:17-18, 렘 15:16, 갈 6:17). 이러한 인간 생활에는 신성하게 부요해진 그분의 인성의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1. 예수님의 인성은 모든 의를 이룬다 ? 마 3:13-15.
2. 예수님의 인성은 쉴 곳이 없다 ? 마 8:20.
3. 예수님의 인성은 마음이 겸허하다 ? 마 11:29.
4. 예수님의 인성은 연약한 이들을 사랑한다 ? 마 12:19-20.
5. 예수님의 인성은 융통성이 있다 ? 마 17:27.
6. 예수님의 인성은 다른 이들을 섬긴다 ? 막 10:45, 1:10의 각주 1 참조.
7. 예수님의 인성은 사람들을 보살핀다 ? 눅 4:16-22, 7:34, 19:1-10.
8. 예수님의 인성은 부주의하지 않고 질서 정연하다 ? 막 6:39-40, 요6:12.
9. 예수님의 인성은 시간의 제한을 받는다 ? 요 7:6.
10. 예수님의 인성은 유일무이하다 ? 요 7:46.
11. 예수님의 인성은 울어야 할 때를 안다 ? 요 11:33, 35.
12. 예수님의 인성은 겸손하다 ? 요 13:4-5.
Ⅲ. 그리스도의 생활과 우리 개인적인 그리스도인 생활은 결국 하나의 총체, 곧 단체적인 소제물인 교회생활을 가져온다 ? 레 2:1-2, 4-5, 고전 10:17, 12:12, 24-25.
A. 이러한 생활은 인성과 성령이 연합된 생활이며 그 위에 성령이 부어진 생활이다. 거기에는 소금과 유향은 있지만 누룩이나 꿀은 없다. 두 형태의 소제물, 곧 개인적인 그리스도와 단체적인 그리스도(교회생활)는 모두 하나님의 만족과 우리의 영양 공급을 위한 음식이다.
B. 소제물은 하나님의 경륜을 성취하도록 우리를 그리스도의 몸의 실재 안으로 이끄는 섞임의 예표이다.
1. “고린도전서 10장 17절에서 바울은 ‘떡이 하나이요, 우리 많은 사람이 한 몸입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가 한 떡에 참여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한다. 교회가 한 떡이라는 바울의 사상은 … 구약에서 받아들인 것이다.
레위기 2장 4절에 나오는 소제물은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만든 과자로 이루어진다. 고운 가루의 모든 부분이 기름과 섞이고 연합되었다. 이것이 섞임이다.”(위트니스 리 고봉 메시지, 9권, 섞임에 관한 실제적인 요점들, 2장, 28쪽)
2. 소제물로 예표된 것처럼 우리가 함께 섞임으로 실현되는 그리스도의 몸의 실재는 온전하게 된 하나님-사람들의 단체적인 생활이다. 이들은 진정한 사람들이지만 자신의 생명에 의해 살지 않고 과정을 거치신 하나님의 생명에 의해 살고 있으며, 자신들의 인간 미덕들을 통해 그분의 속성들을 표현해 왔다. 온전하게 되는 것은 계속해서 우리의 영을 사용하여 자아를 부인함으로써, 그리고 또 다른 생명, 곧 하나님의 생명이신 그리스도에 의해 삶으로써 성숙하게 되는 것이다 ? 갈 2:20, 빌 3:10,1:19-21상.
3. 하나님은 몸을 고르게 섞으셨다(고전 12:24). ‘섞이다’에 대한 헬라어 단어는 차이점들을 잃어버리는 것을 함축하며, 또한 ‘조화되다’, ‘조절되다’, ‘연합되다’, ‘고르게 되다’를 의미한다.
4. 몸의 생활, 곧 소제물인 교회생활 안에서 섞이기 위해서는 십자가를 통과하고, 그 영에 의해 모든 것을 하며, 그리스도의 몸의 건축을 위해 서
로에게 그리스도를 공급해야 한다.
5. 이 모든 요점은 우리가 교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통은 우리를 섞는다. 즉 우리를 고르게 하고 조정하고 조화되게 하고 연합되게 함으로, 우리의 차이점들을 잃어버리게 하고, 교회생활과 일에 우리 개성의
자국을 남기는 것에서 우리를 구원하여, 그리스도께서 참으로 모든 것이시고 모든 것 안에 계실 수 있게 한다 ? 골 3:10-11.
6. “우리는 함께 동역하는 다른 성도들과 교통하지 않은 채 어떤 것도 해서는 안 된다. 교통은 무언가를 하려고 할 때 우리에게 멈출 것을 요구한다. 교회생활과 주님의 일에서 우리가 동역할 때, 우리는 모두 교통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기를 배워야 한다. … 섞임은 우리가 다른 이들과 교통하기 위해 항상 멈추어야 함을 의미한다.”(위트니스 리 고봉 메시지, 1권, 신성하고도 비밀한 영역, 6장, 205쪽)
C. 우리는 고린도전서에서 소제물인 교회생활을 본다.
1. 그리스도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람이시다 ? 고전 1:2, 9, 30.
2. 바울이 고린도 성도들에게 “사람이 되십시오.”(고전 16:13)라고 명령한 것은 우리가 예수님의 높은 인성, 높아진 인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전 9:26-27, 13:4-7). 예수님의 인성에는 비범한 사랑, 끝없는 관용, 비할 데 없는 신실함, 절대적인 겸손, 최고의 순수함, 지고한 거룩함과 의, 밝음과 올곧음과 같은 최고의 미덕들이 있다.
3. 우리가 주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나타나심을 사모하여 그분의 오심(헬.파루시아, ‘임재’를 의미함)을 고대한다면, 그리스도를 우리의 인성으로 소유하는 영역 안에 지켜질 것이다. 주님을 섬기는 이들의 인성은 그들이 성령 안에서 기도함으로 하나님의 사랑 안에 자신을 지켜 주님을 극도로 사랑함으로, 그리고 그리스도를 적시는 이슬로 잉태되도록 헌신의 광채와 아름다움 안에서 매일 자신을 기꺼이 주님께 드림으로 지켜진다? 유 19-21, 딤후 4:8, 마 24:3, 37, 39, 고후 5:14-15, 고전 2:9-10, 시 110:3.
4. 교회생활은 인성이 그 영에 의해, 그 영으로 기름 발라지고 그 영과 합해진 연합의 생활이다 ? 고전 2:4, 12, 3:16, 6:17.
5. 오늘 우리가 누리는 하나님의 은혜는 생명 주시는 영이신 부활하신 그리스도이다 ? 고전 15:10, 45하.
a. 매일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을 향하여 살려면, 우리는 반드시 그리스도와 함께 자아를 향하여 날마다 죽어야 한다 ? 고전 15:31, 36, 요12:24-26.
b. 우리는 우리가 부름받은 신분 안에서 하나님과 하나 되고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을 소유함으로써 부활의 실재를 나타내야 한다 ? 고전 7:24, 21-22상, 10-13.
c. 우리는 우리의 타고난 생명과 타고난 능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의 부활 생명과 부활 능력이신 주님에 의해 수고해야 한다 ? 고전 15:10, 58.
6. 우리는 교회 안의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이신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를 누려야 한다 ? 고전 1:9, 18, 22-23상, 비교 막 15:31-32상.
7. 우리는 그리스도를 우리의 누룩 없는 잔치로, 즉 순수하고 진실한 생명공급으로 누려야 한다. 이러한 그리스도는 온전히 순수하시고 혼합된 것이 없으시며 실재가 충만하시다 ? 고전 5:6하-8.
8. 교회생활 안에서 타고난 생명은 소금, 곧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의해 죽음당해야 한다 ? 고전 15:10, 12:31, 13:8상, 고후 5:16.
9. 하나님은 각 지방에 있는 교회가 소제물이 되어 그분을 만족하게 하고,날마다 성도들에게 충분한 공급을 주기를 갈망하신다. 이것은 교회생활이 우리의 매일의 공급이므로 우리가 우리의 교회생활을 먹을 것임을 의
미한다.
Ⅳ. 삼일 하나님과 세 부분으로 된 사람의 연합인 새 예루살렘은 위대한 소제물, 곧 삼일 하나님과 세 부분으로 된 사람의 연합의 궁극적인 완결일 것이다 ? 레 2:4, 고후13:14, 살전 5:23.
A. 새 예루살렘을 대표하는 숫자 12는 새 예루살렘이 삼일 하나님(3)과 그분의 피조물인 사람(4)의 연합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 계 21:12, 14, 21, 22:2.
B. 새 예루살렘은 과정을 거치시고 완결되신 삼일 하나님과 과정을 거치고 완결된 세 부분으로 된 교회의 연합이다 ? 계 22:17상.
C. 결국, 삼일이신 영원하신 하나님께서 우리 모두와 연결되고 연합되고 합병된 새 예루살렘이 되신다 ? 계 21:3, 22.